SeSac 생성형 AI를 활용한 클라우드&보안전문

네트워크 기초 1

yoonsc202 2024. 11. 18. 14:55

1. 네트워크란?

  • 유선 및 무선 등의 통신 매체를 통해 연결 된 노드(포인트 라고도 부른다)들의 집합

1) 노드와 주소

 

노드

  • 주소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 엔티티

주소

  • 각각의 시스템을 구분하는 구분자

이처럼 네트워크는 서로간 통신을 주고받기 위해 포트를 통해 연결된다. 포트는 크게 순차포트, 병렬포트로 나뉘어진다.

3) 순차포트와 병렬포트의 차이점

  • 순차포트 :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
  • 병렬포트 : 모든데이터를 한꺼번에 전송하는 시스템

정리 : 위와같은 포트 또는 USB케이블, 랜포트를 통해서 통신을 제공하는것이 오늘날 유선 네트워크의 기본이 됨

 

 

2. 네트워크 장치들의 구분

 

1) 네트워크의 확장

  • 네트워크의 연결되는 장치(PC와 같은 장비)들이 많아지는것을 의미한다.
  • 그러나 매체만으로는 네트워크 확장에 어려움이 있다. 
  • 이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 즉 확장을 쉽게하기 위한 허브(Hub)라는 장비가 등장함

2) 네트워크 장비(Network Device)

  • 네트워크에서 접속이 되는 장비가 많아지는것을 트래픽(Traffic)이라고 한다
  • 트래픽이 많아질 경우 네트워크는 혼잡해 진다.
    • 데이터 전송이 원할해지지 않음
  • 이를 원할한 해결을 위한것이 네트워크 장비
  • 네트워크 장비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서버, 클라이언트, 메세지, 매체, 통신프로토콜이 있다.

3) 네트워크 장비 구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 서버
  • 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치 : 클라이언트
  • 두 사이를 오가는 신호 또는 데이터 등 : 메세지
  • 둘을 이어주는 선 : 매체
  • 이 둘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규칙 또는 규약 : 프로토콜

위와 같은 네트워크를 렌카드 인터페이스, BNC 인터페이스라고 부른다

4) 네트워크 구성요소

  • 전송단말기 : 서버, 클라이언트
  • 전송매체 : 2가지로 구분됨
    1. 유선매체 : UTP케이블, 광케이블
    2. 무선매체 : WiFi(IEEE 802.11)
  • 프로토콜 : 눈에보이지 않는 규칙, TCP/IP
  • 전송장비 : 신호증폭, 사용자 주소기반 정보전달 기능

5) 네트워크의 분류

  • 크게 3가지의 방식으로 분류를 진행한다. 
    1. 범위에 따른 분류
    2. 기술별 분류
    3. 전송방식에 따른 분류

5 - 1) 범위에 따른 분류

  • 네트워크의 규모또는 범위에 따른 분류로써 LAN, WAN, MAN 3가지로 구분한다.

① LAN (Local Area Network)

  • 라우터 내부에서 구축 된 네트워크
  • 100M 범위내에 오류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 100M인 이유는 UTP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범위가 100M였으나 무선인터넷의 등장으로 거리에 따른 분류가 의미가 없어짐 
    • 따라서 LAN, WAN, MAN을 구분하는 방법으로써 "소유주"가 누구인지로 구분하기도 한다.
  • 개인이나 기업이 소유하는 네트워크
    • 홈랜, 엔터프라이즈 랜(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가까운 유선네트워크들의 통신이 가능하다.

 

 

② WAN (Wide Area Network)

  • 지역단위로 묶은 네트워크 로 정의 했었다.
  • 현재는 LAN의 범위도 넓어졌고 구분이 애매해졌기때문에 SP 소유 및 관리하에 있는 망을 WAN이라 부른다.
  • 여기서 SP란?
    •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써 통신회선사업자를 의미한다.
    • 미리 전국에 망을 구축하고 이 망을 다른 기업, 개인에게 판매하는 회사들을 말한다.
    • 대표적인 예시로 KT, SKT, U+ 들이 있다. 

 

③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LAN과 WAN사이 범위의 네트워크로써, LAN보다 큰 지역을 지원하는 영역이다.
  • 사용하는 SW와 HW는 LAN과 비슷하지만 연결규모가 크다.

5 - 2 ) 기술별에 따른 분류

  • 이더넷
    • 전세계 기본으로 유선으로 구축하는 네트워크
    • WiFi : IEEE 802.11 규격으로써의 무선이더넷을 위한 통신규격
  • 토큰링 
    • 공항 및 군부대에서 사용하는 보안에 중점을 맞춘 네트워크

5 - 3 ) 전송방식에 따른 분류

  • Unicast 전송 : 시스템을 구분해서 특정 시스템에게서 전송하는 주소
  • Multicast 전송 : 그룹주소를 이용하여 그룹내 사람들에게 전송하는 주소
  • Broadcast 전송 : 연결된 모든 이에게 주는 주소
  • 목적지 주소에 따라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는 기준이 됨
  • 어떤 방식으로 전송하는지에 따라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

① Unicast의 전송과정

A -> B 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예를 들어 보여준다.

  1. A는 데이터를 비트와 시켜서 네트워크에 전기신호로 전송한다.
  2. 전기신호 특성상 A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B, C, D에게 전송이 된다.
  3. 여기서 C, D는 랜카드는 Unicast 주소를 보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데이터를 폐기함
  4. B는 자신에게 온 데이터임을 판단하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A가 모두에게 연결되었으나 C, D는 본인에게 온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결을 끊는다.

 

  • Unicast의 특징
    • 시스템의 부하를 덜받는다.
    • 네트워크의 부하가 증가한다 -> 트래픽의 증가

 

 

② BroadCast 전송과정

A -> B, C, D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로 든다

  1. 데이터가 전기케이블에 따라 들어온다.
  2. 브로드캐스트는 받는이가 모두로 되어있기때문에 B, C, D가 수신한다.
  3. 만약에 필요없는 정보일 경우 메모리 적재후 폐기한다.

B, C, D는 자신에게 온 데이터임을 확인하고 수신받는다.

  • Broadcast의 특징
    •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한다.
    • 네트워크의 부하가 감소한다.

③ Multicast 전송과정

A에서 그룹 G에 해당된 B, C 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다.

  1. 사전에 그룹을 지정한다.
  2.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3. 작성된 주소에는 랜카드가 미리 지정한 그룹대상자에게 전송이 된다
  4. 그룹에 들어가 있는 B,C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되지 않는 D는 데이터를 폐끼한다
  • Multicast의 특징
    • Broadcast의 종류중 하나로 부르기도 한다.
    • 시스템의 부하도 줄이고, 네트워크의 부하도 줄이는것이 가능하다.
    • 그러나 내부망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사전에 그룹이 지정된 B, C에만 데이터가 전송이 된다.

 

총 정리 : 각각의 전송방식에 따라 많은 장단점이 존재하나, 현재는 Broadcast를 기반으로 한 Unicast전송을 한다. 이에따라서 시스템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트래픽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6) MAC 주소

  • LAN 카드에서 구분하는 주소중에 하나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을 구분할 때 사용한다.

3. Network Topology

  •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로들을 표시하는것을 토폴로지라고 부른다.
  • 네트워크가 연결된 모양, 네트워크 장비에 따라 구분짓는다.
  • 크게 3가지로 버스형, 링형, 성(star)형으로 구분된다.

1) 버스형(Bus Topology)

  • 중앙의 선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조를 말한다.
  • 그러나 한 회선에서 여러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이 될 시 데이터가 깨질 수 있다.

 

버스형 네트워크의 구조

2) 성형(Star Topology)

  • 하나의 허브로 여러 PC가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다.
  • 현재 네트워크 구조에서 유일하게 사용한다.

Star Topology네트워크의 구조

 

2 - 1 ) Tiered Star Toplogy

  • 단말 스위치를 이용해서 여러컴퓨터를 이어주는 성형구조 기반 네트워크
  • 단말 스위치를 위에 있는 백본과 연결하고 다른 단말스위치로 연결하는구조
  • 이로인해 확장이 용이하다.

 

3) 링형(Ring Topology)

  • 서로간의 PC를 고리형태로 연결한 형태의 구조
  • 중간 PC에서 문제가 생길경우 통신이 끊길 가능성이 있음
  •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MAU(Multi Access Unit)이라는 링형의 허브가 등장함

4. OSI 7계층

1) 개요

  • 7개의 계층으로 구분이 되어 있는 구조이다.
  • 컴퓨터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표준프로토콜이나
  • 현재는 잘 안쓰인다.

2) 계층의 분류

  1. 리 계층 : 물리적인 연결 담당
  2. 이터링크 계층 : 논리적 연결 담당
  3. 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간 연결 담당
  4. 송 계층 : 양 단간 연결 담당
  5. 션 계층 : 양 단간 서비스 담당
  6. 현 계층 : 데이터 형태 결정
  7. 용 계층 : 사용자 인터페이스

[1] 물리 계층 - Physical

  • 서로 물리적인 연결이 되어 있는 계층
  • 연결 구간의 전기적, 기계적 특징과 순서에 정의, 활성, 비활성, 관리를 위한 기능적 특징이 있다.

[2] 데이터링크 계층 - DataLink

  • 전송을 위한 데이터의 형식 결정.
  • 매체 접근방식의 규정은 CSMA/CD를 통해 지정된다.
    • CSMA/CD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ision Detect)
      • Carrier Sense : 어느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지 감지
      • Multiple Access : 순서없이 필요한 사람 먼저 주기
      • Collision Detect : 데이터 충돌감시, 충돌상황발생시 신호 전송
        1. 충돌 감지 시 전송을 중지
        2. 우선순위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3. 프로세스에게 임의의 재전송 시간 부여
        4. 지속적인 충돌 발생시 전송취소
      • 데이터를 에러없이 잘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해 방법을 제시하는것
  • MAC주소
    • 물리적이면서 평면적인 특징을 가졌다.
      • 물리적 : 제품이 나올때 처음부터 지정이 되어서 나온다.
      • 평면적 :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주소.
        • 평면적이다의 개념예시
          • 내 자동차번호는 3237이다. 카페에 자동차를 주차했는데 카페 직원이 "3237 차주분 계신가요!" 라고 했을때, 물리적인 내이름이 아님에도 내가 대답할 수 있는 것
  • 주소 제공

[3] 네트워크 계층 - Network

  • 호스트간의 경로 선택과 연결성을 제공하는 계층
  • Local 네트워크와 Remote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담당함
    • Local/Remote 네트워크의 구분
      • Local : ""가 쓰고 있는 PC
      • Remote : 내가 "안 쓰고" 있는 PC
      • 이때 구분 주체가 "나" 여야한다.
  • 경로선택 기능인 라우팅 제공
    • 최적의 경로 선택
    •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상대방을 빠르게 찾기 위한 구조
  • 주소기능 제공
    • 주소는 논리적이며 계층적인 특징을 가짐
    • IP주소 제공

[4] 전송계층 - Transport

  • 양단간 연결(End - to - End Conncection)지원
  • 송신지부터, 수신지까지 직접 전달되는 방식
  • 서비스 구분 목적
    • 포트넘버 시스템
    • IP주소와 포트주소를 결합한것을 소켓이라고 부름
    • 주로쓰는 포트주소
      • [1 ~ 1023] - Well Known 포트 
        • 서버가 주로 이 범위대의 포트를 사용한다.
      • [1024 ~ 49151] - 등록(Registered) 포트 
        • HTTP : 80
        • HTTPS : 83
        • FTP : 21
        • SMTP : 25
        • DNS : 35 
        • 위에 5가지들이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포트들이다
      • [49152 ~ 65535] - 동적할당(Dynamic Allocation) 포트
        • 웹브라우저가 웹에 접속할때 할당받는 포트이다.
        • 주로 다른포트를 부여받고 접속을 진행한다
        • 물리적인 연결이 아닌, 네트워크 상 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의미
          • Virtual Connection
            • 연결이 되어 있지 않지만 끝단과 끝단사이에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는것처럼 보임

[5] 세션 계층 - Session

  • 양단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인증을 통해서 사용자간 서비스 제공을 구분하는 계층

[6] 표현 계층 - Presentation

  • 데이터의 형식을 결정하는 계층이다.
  • 데이터의 암호화, 구문변환, 코드변환 과정을 보낸다.
    • 전송할 데이터의 형태를 결정을 담당한다.

[7] 응용 계층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 송신프로토콜 결정(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 결정)
    • 전송할 데이터를 만들지는 못한다.
  •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를 받아내는 계층

2에서 계속

'SeSac 생성형 AI를 활용한 클라우드&보안전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3  (0) 2024.12.11
클라우드 컴퓨팅 2  (0) 2024.12.11
클라우드 컴퓨팅 1  (0) 2024.12.10
클라우드 간단정리  (0) 2024.12.10
네트워크 기초 2  (0) 2024.11.19